1. 플러터 sdk 설치 후, 시스템 환경 변수로 편집(bin폴더)
2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후, 플러터 플러그인 설치
3. 터미널에서 'flutter doctor'로 환경 설정 체크
(4. cmdline-tools component is missing 문제라면 아래 3번째 라인 툴 설치 해주면 된다.)
(5. Android license status unKnown 문제라면, 터미널에서
'flutter doctor --android-licenses' 입력 후 'y' 체크)
6. 플러터 기본 프로젝트 생성 하면, 아래와 같은 구조
* 여기서 중요한건
lib 폴더: .dart 파일들을 모아두는 곳이다.
pubspec.yaml: 프로젝트 관련 pub 설정값 저장 파일.
7. 안드로이드 폴더 구조
* 여기서 중요한 건
AndroidMainfest.xml: 안드로이드 관련 권한 및 설정
build.gradle(android/app폴더): 모듈, 의존성 버전 정보(이걸 보통 씀) - sdk 버전 설정
build.gradle(android상위 폴더): 프로젝트 클래스, 레포지토리 정보(잘 안씀)
8. 자, 이제 lib 폴더에 프로젝트 관련 dart파일을 추가해서 진행하면 된다.
반응형
'Programming > 플러터(flutter) - CrossMobi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러터(flutter)/ 블루투스(bluetooth) (0) | 2023.06.20 |
---|---|
플러터(flutter)/ 앱 아이콘 변경 (0) | 2023.06.19 |
플러터(flutter)/ Statefulwidget(위젯 widget) (0) | 2023.06.04 |
플러터(flutter)/ Statelesswidget(위젯 widget) (0) | 2023.06.04 |
플러터(flutter)/ 다트(dart) (0) | 2023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