객체 3

비전 시스템 ROI와 RDI 비교

ROI(Region of Interest)와 RDI(Region of Detection and Identification)는 컴퓨터 비전과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, 이미지에서 특정 관심 영역(Region of Interest)과 탐지 및 식별 영역(Region of Detection and Identification)을 나타내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입니다. 다음은 두 용어의 비교 설명입니다: 1. ROI(Region of Interest): - ROI는 이미지 내에서 특정 관심 영역을 지칭합니다. - 주로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분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- 예를 들어, 의료 이미지에서 특정 병변 영역을 강조하거나 객체 탐지 작업에서 객체 주변의 특정 영역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. ..

Etc 2023.11.03

C#/ 보충 1(객체, 스레드, 컬렉션스)

# 객체 생성 using System; namespace ConsoleApp1 { public class Univ { private string[] name; private string[] sex; private int[] age; public int[] Age { get { return age; } set { age = value; } } public string[] Sex { get { return sex; } set { sex = value; } } public string[] Name { get { return name; } set { name = value; } } } } *Java랑 비교해 보면, C#은 키워드로 get,set 이 프로퍼티로 사용한다. # 스레드 및 컬렉션스 활용 using S..

스프링(spring)/ 스프링부트(spring boot) 빈 객체 정의

# 스프링부트에서는 기본적으로 WEB-INF폴더 내에, -context.xml, web.xml 파일이 없다. 기존 설정파일에서 추가하던 내용들은 모두 자바 클래스 내에서 설정 가능하다. 그럼 빈 객체 설정은? 컴포넌트 스캔 처리 내의 패키지에서, 해당 객체 클래스 생성. 예를 들어, 스프링 시큐리티 내의 BCryptPasswordEncoder 객체 생성(따로 사용할 경우) package com.boot.mai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Bea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Configuratio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security.crypto.bcrypt.BC..